수년간 찬반 상황을 거듭했던 제주 제2공항이 최근 환경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조건부 동의로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사진은 14일 서귀포시 성산읍 대수산봉 정상에서 바라본 제2공항 예정 부지인 성산읍 일대. 2023.3.14/ 오현지 기자
= 국토부가 오는 6일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합니다. 2015년 11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을 2공항 부지로 발표한 지 9년 만에 사업이 공식 확정됐
제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약 551만㎡ 부지에 조성됩니다. 총사업비는 5조 4500억 원 규모로, 올해 하반기 설계에 착수합니다.
주요 시설은 △활주로 1본 △계류장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교통센터 등입니다.
다음은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주요 일지.
△2015년 11월10일 국토부,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예정지로 서귀포시 성산읍 발표
△2016년 1월 제주 제2공항 주민설명회 파행
△2016년 1~11월 한국개발연구원 제주 제2공항 예비합당성 검토 용역 착수
△2016년 7월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 공식 출범
△2016년 12월 국토부, 제주 제2공항 예비합당성 조사 ‘합당성 확보’ 결과 발표
△2016년 12월 제주도, 제주 제2공항 주변 발전 기본구상 용역 착수
△2017년 11월 ‘제주 제2공항 반대 범도민행동’ 출범
△2018년 11월 입지선정 합당성 재조사 용역 완료
△2018년 12월 국토부 항공정책위원회 심의 ‘중대한 하자 없음’ 결론
△2018년 12월 국토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
△2018년 12월 제주 제2공항 반대단체, 제주도청 앞 천막농성 돌입
△2019년 4월 주 제2공항 성산읍 추진위원회’ 출범
△2019년 6월 국토부, 세종청사서 제2공항 기본계획 최종보고회 개최
△2019년 7월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주민설명회 파행
△2019년 8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출범
△2019년 9월 국토부, 환경부에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제출
△2019년 10월,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1차 보완 요구
△2019년 12월 국토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보완 1차 제출
△2019년 12월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2차 보완 요구
△2019년 11월 제주도의회 제주 제2공항 갈등해소특별위원회 구성
△2020년 12월 제주도-도의회, 제주 제2공항 도민 여론조사 합의
△2021년 2월 제주 제2공항 도민 여론조사 실시 및 결과 발표
△2021년 3월 원희룡 제주도지사, 제주 제2공항 정상 추진 촉구 공식발표
△2021년 6월 국토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보완 2차 제출
△2021년 7월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반려
△2022년 4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주 제2공항 조속 추진 담은 제주 7대 공약 발표
△2023년 1월 국토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보완서 제출
△2023년 3월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조건부 협의 결정
△2023년 3월 국토부, 기본계획 수립 의견 조회 요구
△2023년 3월~5월 제주도, 기본계획 수립 주민열람 및 의견접수
△2023년 3~5월 도민경청회 4차례 개최
△2023년 7월 제주 제2공항 주민 의견수렴 결과 및 제주도 의견 제출
△2024년 6월 국토부-기재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