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보이스피싱 조직 2곳 총책 검거
범행정보 실시간 입수한 뒤 경찰에 지원
"해외 원점 타격하는 데 역량 집중할 것"
정보 당국이 정부·기관을 사칭하면서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금전을 갈취한 보이스피싱 조직들의 총책을 검거했어요.. 중국에 거점을 둔 이들 조직의 범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검경에 정보를 지원한 성과다.
국가정보원은 중국에 거점을 둔 보이스피싱 조직 2곳의 총책 30대 이모씨, 30대 최모씨 관련 정보를 검찰과 경찰에 제공해 국내로 입국하는 대상자를 모두 검거하는 데 성공 했다고 31일 밝혔 습니다.
국정원에 말에 의하면 이들 조직은 검찰이나 금융감독원, 은행 등을 사칭하면서 피해자가 범죄에 연루됐다고 협박하거나 저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속여 금전을 뜯어낸 것으로 조사 됐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범죄 피해액은 14억원에 달합니다.
국정원은 작년 3월 이들 조직이 피싱 피해자를 물색 하고 실제로 돈을 받아내는 과정까지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어요.. 추적 과정에서 이른바 그놈 목소리라고 불리는 조직원의 실제 사기 시도 과정까지 확인했어요.. 조직원이 피해자와 통화하는 영상, 음성, 범행 시나리오, 피해자 협박에 사용하기 위하여 조작된 가짜 구속영장 등을 확보했어요..
국정원이 확보한 자료를 보면 해당 조직들은 일반 기업체의 사업 운영 수준으로 체계적인 수법을 보였 습니다. 상담사 역할을 맡은 조직원은 자체 제작한 피싱용 서류 양식에 따라 피해자의 ▲신원 ▲재직기간·연봉 등 직장정보 ▲대출 여부·신용카드 개설연도 등 금융정보 ▲휴대전화 기종 등을 상세하게 기입했어요.. 이런 실적은 보수를 지급하는 성과 기준이 됐습니다.
핫라인 정보 지원…1시간 만에 범행 차단
국정원은 총책들을 검거하는 중에국정원-경찰청 간 핫라인을 구축했어요.. 짧은 시간 안에 범행이 이뤄진다는 범죄 특성에 따라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국정원이 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 기도 정보를 입수하는 즉시 경찰에 지원하는 구조다. 국정원은 실시간으로 입수한 범행 장소와 시간 등 정보를 경찰에 지원했어요..
재구성된 핫라인 소통 과정을 보면 국정원이 수금책의 동선과 피해자에 대한 정보를 경찰에 통지하면, 경찰은 이를 관할 경찰서에 긴급 전파 하고 5분 만에 경찰관 투입이 이뤄진다. 이후 국정원은 수금책의 연령대와 인상착의, 예상 피해금액 등 정보를 경찰에 추가로 제공 하고, 처음 정보 전달로부터 불과 1시간 만에 수금책이 경찰에 검거됩니다.
이렇게 작년 3월부터 올해 6월까지 대기업 직원과 군인, 취업준비생 등 28명을 노린 9억3000만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어요..
국정원 관계자는 "해외에서 활동하는 보이스피싱 조직에 대한 추적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국내에서 활동하는 단순 수거책을 검거하기보다 범행을 주도 하고 있는 해외 원점을 타격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어요..
또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사기관이 대응시스템을 갖추면서 피해액이 점차 줄고 있지만, 아직까지 규모가 연 수천억대로 나타 났는데요. 경찰청에 말에 의하면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액은 2021년 7744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22년 5438억원,
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 시나리오
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 시나리오
피해자 협박용 가짜 구속영장
보이스피싱 과정에서 피해자 정보를 기입하는 서류 양식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