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창용 총재 “올해 성장률 환율·가계부채 고려해 결정”

반응형



“수출 물량·금액 방향 달라 전망 어려워”
“자동차 파업 등 일시적 영향 있을수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연간 성장률이 2.3%나 2.2% 정차도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어요..

이 총재는 29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이종욱 국민의힘 국회의원의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 2.4% 달성이 어렵다고 지적하자 “아직 잠재성장률보다 위쪽에 있기 때문에 아주 큰 폭의 하락이라고 봐서 당황할 필요는 없다”며 이같이 답했어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 하고 있습니다. /

한은은 지난 8월 수정경제전망에서 3분기 성장률 전망치로 0.5%를 제시했어요.. 그러나 실제 속보치는 0.1%로 집계돼 전망치의 5분의 1에 불과했어요.. 이로 인해 한은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 2.4%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 총재는 3분기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온 이유이 수출에 있다고 했어요.. 그는 “내수는 저희가 예상한 대로 회복 중이지만, 수출은 미국 대선이라든지 중국의 현재 상황이라든지 이런 대외요인에 대해서 굉장히 변한다”고 답했어요..

그리고 그는 “3분기 수출액은 떨어지지 않고 수량은 떨어졌다”며 “액수와 수량이 굉장히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성장률 전망이 어렵다”고 했어요.. 수출 수량이 떨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자동차 파업과 같은 일시적 요인이 있을 수 있다”면서 “화학제품이나 반도체 단가는 올라가는데 중국과의 경쟁으로 수량이 안 나가는 문제도 있다”고 했어요..

이어 “ 전망을 좀 더 개선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전망은 외부요인이 바뀌면 굉장히 많이 바뀔 수 있어서 수출의 금액과 수량이 어떻게 다른지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