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관계자 "北인권재단 연계, 당내서 해결할 문제"
"당정 하나돼서 어려움 극복해야 할 시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추진하는 것에 대하여 대통령실이 여야 합의로 후보를 추천하면 그중 한 명을 특별감찰관으로 임명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어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대통령실 관계자는 23일 기자들과 만나 “특별감찰관 관련선 이미 여러 차례 이야기했는데 여야가 합의해 오면 임명할 것”이라며 “당에서 오늘 아침만 하더라도 이런저런 얘기가 있지 않았느냐. 그것을 같이 지켜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어요..
특별감찰관은 4촌 이내 대통령 친인척과 수석급 이상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비위를 감찰하는 자리다. 국회가 후보 세 명을 대통령에게 추천하면 그 중 한 명을 대통령이 특별감찰관으로 임명하게 돼 있습니다.
특별감찰관 자리는 2016년 초대 이석수 전 감찰관이 퇴임한 이후 8년째 공석입니다. 문재인 정부에선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를 원인으로 특별감찰관 임명을 미룬 데다가 현 정부 들어서도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 문제와 맞물리며 여야 의견이 맞물리기 때문 입니다. 야당이 북한인권재단 이사를 추천해야 특별감찰관 추천도 의논할 수 있다는 게 그간 여당 입장이었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특별감찰관 추천에 있어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이 전제조건이라는 것은 지금 상황에서 국민 공감을 받기 어렵다”며 두 문제를 별차도 다루겠다는 뜻을 밝혔 습니다. 그는 전날 21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면담에서도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말했어요.. 반면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알다시피 특별감찰관은 국회 추천 절차가 있어야 하고 이 부분은 국회 운영과 관련있는 사안이고 원내 사안”이라며 한 대표 발언과 거리를 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북한인권재단 이사와 연계해서 하겠는 것도 당에서 추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내에서 해결할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어요..
이 관계자는 한 대표가 전날 친한계 인사들에게 “용산은 지금 말을 각색할 때가 아니다.”고 말한 걸로 알려진 것에 대하여 “어떤 부분이 왜곡이라는 것인지 말해주면 좋겠다”며 “엄중한 정치 상황에서 당정이 하나 돼 어려움을 극복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어요.. 그는 21일 면담에서 대통령실이 한 대표를 홀대 했다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