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윤 대통령, 오늘 ·뉴질랜드 정상회담

반응형



기시다 일본 총리와 마지막 셔틀외교도 예정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미국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4개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 기시다 일본 총리,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장관. 2024.7.12/ 박지혜 기자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인도·태평양 지역 핵심 파트너인 뉴질랜드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리는데요.

대통령실에 말에 의하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만나 양국 간 실질 협력 강화 방속을 의논합니다.

지역 및 국제무대 협력 증진 방안도 의논 테이블에 같이 오릅니다.

윤 대통령이 럭슨 총리를 만나는 것은 지난 7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이후 약 2개월 만입니다.

그때 당시 윤 대통령은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로 이뤄진 인태 4개국 정상회동에 참석해 럭슨 총리 등과 북러 군사협력을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관한 공동 대응을 뿐만 아니라 인태 지역에서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협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뉴질랜드는 2015년 자유무역협정이 발표된 뒤 교역을 꾸준히 확대하는 등 경제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 하고 있습니다.

공급망과 같이 국방, 인적교류 분야 등에서도 협력 폭을 넓히기 위한 의논도 이번에 이뤄질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오는 6~7일 방한하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도 한일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되었습니다.

두 정상 간 12번째 정상회담이자 윤 대통령이 이달 말 퇴임을 앞둔 기시다 총리와 하는 마지막 셔틀외교다.

양국은 회담에서 작년 한일관계 정상화 이후 달성한 협력 성과를 되짚고 향후 관계 증진 방속을 의논합니다.

윤 대통령은 작년 강제동원 피해자 제3자 변제를 연결고리로 한일관계를 정상화 하고 12년 만에 셔틀외교를 복원 시켰네요.

이후 서울과 도쿄를 오가는 셔틀외교뿐 아니라 다자정상회의를 계기로도 기시다 총리와 만나며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일본 정상이 새로 바뀌는 만큼 이번 정상회담은 향후에도 양국이 지속적으로 우호 관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