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동연 "선감학원 의무 이행 못해”

반응형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도 산 37의1 일대 선감학원 희생자 공동묘역.

경기 안산 선감도 일대에서 벌어진 인권 유린사건인 선감학원 사건.

일제강점기인 1942년부터 1982년까지 안산시 선감도에 설립한 선감학원에서 부랑아 교화라는 명분 아래 4,700여명의 소년들에게 강제노역, 구타, 가혹행위, 암매장 등 인권을 유린한 사건입니다.

이에 진실화해위는 2022년 10월 선감학원 사건을 ‘공권력에 의한 아동인권침해’로 진상 규명 하고, 선감학원 운영 주체인 경기도와 위법적 부랑아 정책을 시행한 국가를 대상으로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에 대한 지원대책 마련, 희생자 유해 발굴 등을 권고했어요..

하지만 정부는 진실화해위의 권고가 있은지 1년 반이 넘도록 단 한 차례도 선감학원 사건에 대한 책임 인정이나 유해발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상황.



2022년 10월 19일 선감학원 희생자 유해매장 추축지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헌화한 뒤 묵념 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가를 대신하여 경기도가 8일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 유해발굴을 착수했어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 37의 1 일대 공동묘역에서 진행한 개토행사에서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어 피해자 분들 한 분이라도 생존해 계실 때 유해를 발굴하기 위하여 도가 하겠다고 선언 했다"고 밝혔 습니다.

이어 "유해 발굴과 DNA 감식을 통한 신원 확인 등을 차질 없이 하겠다"면서 "발굴 작업과 모시는 것이 다 끝난 뒤에는 필요하다면 중앙정부에 구상권을 행사하겠다. 돈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정부가 각성을 하라고, 필요하다면 소송을 걸겠다”고 강조했어요..

선감학원뿐만 아니라 공권력으로 인해 이재 까지 유린됐던 인권 사례에 대하여 경종을 울리고 각성을 시키켔다는 의지 입니다..

김 지사는 "다시는 국가나 정부라는 이름으로 폭력이 없는 나라 그리고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나라가 되도록 다 같이 뜻을 같이했으면 좋겠다"면서 "도가 그 대열 맨 앞에서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과 약속을 드린다"고 다짐했어요..



선감학원사건 피해자 신고센터 모습.

전에 도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해발굴 사전절차인 분묘 일제조사와 개장공고 등을 지난 4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 진행했으며, 진실화해위가 2022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시굴한 분묘 35기 외에 희생자 분묘로 추축되는 150여 기를 확인했어요..

도는 개토행사 이후 희생자 추축 분묘에 대한 유해 발굴을 본격 착수할 계획이며, 발굴이 완료되는 오는 11월부터 시굴 유해를 포함한 전체 발굴 유해에 대하여 인류학적 조사, 유전자 감식, 화장, 봉안 등의 절차를 진행할 방침입니다.

이날 개토행사에는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와 경기도, 안산시, 진실화해위, 행정안전부 관계자 및 시민단체 등

반응형